작두콩 다수확을 위하여 정리합니다.
*요점정리 *
1. 평당 12주 심어짐 12주 *200평 = 2400주
2. 1kg당 약 450알 ,2400주/450알 = 5kg
3. 200평당 약 5kg의 작두콩 종자가 소요됨 .
출 처: 알토란마을 / 카페 / 한해별 / 2009.03.06 [원문보기]
작두콩 포트파종
작두콩 포트 파종시기가 다가왔다. 파종시기는 지방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늦서리의 영향 - 서리피해방지) 대략 4월5일부터 4월15일경 포트에 파종하여 이식한다.
1.준비물 1.작두콩씨앗(흰색):103개. 2.작두콩씨앗(붉은색):15개. 3.플러그(9구):12개. 4.상토:1포.
2.파종일시:4월 8일.
3.파종과정.
파종을 위한 준비물
1.작두콩 배꼽부분에 칼로 살짝 상처를 낸다.
2.물에 24시간 담갔다.
처음물에 담근모습.
24시간 물에 담근후의 모습
2.플러그에 상토를 체우고 물을 충분히 뿌린다.
3.파상침종한 씨앗을 배꼽부분이 밑을 향하게 하여 포트에 심는다.
4.그위에 상토를 2-3센티 덮고 물을 충분히 준다.
*파상침종한것과 안한것과의비교.
|
등록정보 : 공개 |
![]() |
출 처: 곧은터 사람들 / 카페 / 다락골 은행나무 / 2009.03.06 [원문보기] |
작두콩 유인줄 설치하기
2008년 5월 27일 아침 안개가 자욱한 작두콩 밭에서
유인줄 설치 모습을 위,아래로 찍어 올립니다.
제법 땅맛을 본듯합니다. 이제 쑥쑥 커가서 튼실한 열매를 기대해 봅니다.
1. 정면에서 본 사진
2.위에서 본 사진
3.아래에서 위로 본사진
작두콩 재배하는데 정말로 필요하지 않은 것
작두콩 초기 재배사진
작두콩 적심을 해야 하는 이유 |
작두콩 적심후 상황에 대하여 설명 올립니다. 적심을 해야하는 이유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하부에 가지를 많이 만들어 작두콩 열리는 수량을 증대하기 위함이 가장 큰 목적입니다.
적심후 새로운 가지 출현사진 올립니다.
|
등록정보 : 공개 |
![]() |
출 처: 농사를 사랑하는 모임 / 카페 / 바우지기(김동희) / 2009.03.06 [원문보기] |
등록정보 : 공개 |
![]() |
출 처: 알토란마을 / 카페 / 한해별 / 2009.03.06 [원문보기] |
유인물질로 노린재를 많이 잡으려면
작성자 배순도/ 농촌진흥청 기능성잡곡과
(055-350-1272, baesdo@rda.go.kr)
현재 국내에서 콩을 가해하는 주요 노린재의 종류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가로줄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풀색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및 갈색날개노린재의 6종을 들 수 있으며, 감, 감귤, 사과, 배, 복숭아, 자두, 매실, 유자 및 참다래 등의 과실을 가해하는 주요 노린재의 종류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풀색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및 갈색날개노린재의 4종을 들 수 있다. 노린재류에서 밝혀진 종내 통신화합물은 집합페로몬으로 이는 대상 노린재의 암컷과 수컷 및 약충을 모두 유인한다는 점에서 곤충의 페로몬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사용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현재까지 이들 노린재 가운데서 집합페로몬이 밝혀진 것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가로줄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이라고 전보에 언급하였다. 하지만 어떤 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이 동정되었다 하더라도 집합페로몬의 조성성분, 비율 및 함량에 따라서 노린재의 유인효과가 달라진다. 따라서 집합페로몬을 이용하여 노린재를 효과적으로 유인하기 위해서는 포장에서 다양한 유인력 검정 평가를 통하여 상업적으로 실용화 할 수 있는 페로몬의 조성성분별 조성비와 함량을 결정하게 된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수컷이 휘발성 통신화합물을 방출하여 암컷과 수컷 및 약충까지 유인하는 3가지와 4가지 조성성분의 집합페로몬이 밝혀져 있는 데, 1995년에 동정된 3가지 조성성분의 집합페로몬은 EZ:EE:MI의 비율이 1:5:1로 방출기당 총 함량이 75㎎일 때 노린재의 유인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2007년에 동정된 4가지 조성성분의 집합페로몬은 EZ:EE:MI:OI의 비율이 1:5:1:1로 방출기당 총 함량이 80㎎인 경우 3가지 조성성분의 집합페로몬보다 노린재의 유인효과가 30% 이상 높게 나타나 앞으로 4가지 조성성분의 집합페로몬이 널리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가로줄노린재도 수컷에서 휘발성 통신화합물을 방출하여 동종의 암컷과 수컷성충 및 약충까지 유인하는 EE라는 집합페로몬이 밝혀졌고, 이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의 한 성분으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에도 가로줄노린재가 유인되지만 가로줄노린재를 보다 많이 유인하기 위하여 방출기당 EE의 함량이 105㎎인 경우 노린재를 가장 많이 유인할 수 있었다. 갈색날개노린재도 수컷에서 Me-EZZ라는 집합페로몬을 분비하여 동종의 암컷과 수컷성충을 유인하는 데, 현재까지 조사된 결과에 의하면 방출기당 Me-EZZ의 함량이 5㎎일 때 노린재의 유인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 갈색날개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인 Me-EZZ는 갈색날개노린재의 유인뿐만 아니라 풀색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및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까지 유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 Me-EZZ를 이용하여 아직 페로몬이 개발되지 않은 노린재류를 효과적으로 유인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노린재가 방출하는 통신화합물인 집합페로몬은 먹이가 있을 때 동종의 노린재에게 그 정보를 제공하여 모이게 하는 것으로 콩 종실을 집합페로몬과 조합하면 노린재의 유인효과가 크게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콩은 노린재가 가장 선호하는 기주의 하나로 콩 종실에 따른 노린재의 선호성은 청자콩에서 가장 높으며, 다음은 검정콩 및 태광콩의 순서인데, 이러한 콩 종실을 집합페로몬과 조합하면 노린재의 유인효과는 80%(청자콩+집합페로몬), 60%(검정콩+집합페로몬) 및 30%(태광콩+집합페로몬) 증진되어 노린재류의 대량유인을 위해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직 검토중 에 있지만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갈색날개노린재의 집합페로몬과 청자콩 종실을 조합한 유인물을 사용하면 콩 및 과실가해 주요 노린재류를 가장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호리허리노린재과(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등)와 노린재과 노린재류(썩덩나무노린재 등)는 그 행동특성이 상이함으로 2가지 노린재 그룹을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트랩개발이 이루어지면 이종(異種) 유인물질의 조합에 의한 노린재류의 대량유인이 증진될 것이다.
노린재류의 화학적 통신작용은 다른 곤충의 경우와는 달리 종내뿐만아니라 종간에 작용하는 효과가 큰 데, 이는 대부분의 노린재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체내 화합물을 경우에 따라 상호 정보 교환에 유리하게 이용하는 측면이 많은 것과 관련이 있으며, 자연생태계에서 개체군 보존을 위한 방어물질의 선택적 이용과도 연관되어진다. 또한 노린재류의 집합페로몬은 나방류의 성페로몬에 비해 그 함량이 약 1,000~10,000배 정도 많은 데, 이는 노린재가 방출한 통신화합물을 인식하는 동종 노린재의 안테나에 화학적 수용체의 감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포장에서 노린재의 대량유인을 위해선 집합페로몬과 상승적으로 조합할 수 있는 보조적 유인물의 개발도 요구된다 하겠다.
<유인물 조합에 따른 노린재 유인효과> <노린재 유인트랩>
[출처] 유인물질로 노린재를 많이 잡으려면|작성자 baesd0304 어떤 트랩이 노린재를 많이 유인하나 작성자 배순도/ 농촌진흥청 기능성잡곡과 (055-350-1272, baesdo@rda.go.kr) 유인물질이나 광을 이용하여 곤충을 유인하는 목적은 대상곤충의 발생예찰, 교미교란 및 대량포획을 통하여 곤충 개체군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오늘날 농작물에 발생하는 곤충을 모니터링 하는 데 널리 이용되는 유인트랩의 종류는 다양하며, 농업현장에서 대상곤충의 유인을 위해 어떤 트랩을 사용할 것인가는 전적으로 대상곤충의 행동학적 및 생리?화학적 특성에 따른 유인효과 및 경제성과 직결된다. 따라서 곤충 유인트랩의 종류별 특성을 알아두면 유인물질을 이용한 대상곤충의 관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끈끈이트랩(sticky trap)은 직사각형의 얇은 판의 양면에 끈끈이를 부착한 것으로 평판(flat board trap)트랩 이라고도 하며, 오늘날 널리 사용되는 트랩의 하나이다. 주로 온실에서 발생하는 미소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것으로 끈끈이의 색깔에 따라 유인효과가 다르다. 즉, 노란색은 가루이류, 진딧물류, 굴파리류, 뿌리파리류, 기생벌 등의 유인에, 흰색은 벼룩잎벌레, 진딧물류 등의 유인에, 청색은 총채벌레류 등의 유인에 유리하다. 끈끈이트랩에 유인된 해충수를 조사하여 예찰 및 방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며, 방제가 어려운 해충의 밀도를 직접적으로 낮추는 데에도 이용된다. 하지만 끈끈이 판에 여러 종류의 곤충이 많이 부착되어 쉽게 더러워 짐으로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한다. 델타트랩은 삼각통의 안쪽 면에 끈끈이를 입힌 것으로 주로 성페로몬을 이용하여 나방류의 발생예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펀넬트랩(funnel trap)은 유니(uni)트랩 또는 버켓(bucket)트랩 이라고도 하는 데, 유인물질을 이용하여 나비목, 노린재목, 벌목, 딱정벌레목 등의 곤충을 유인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과실을 가해하는 노린재류의 유인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펀넬트랩의 바닥을 잘라내고 망사를 붙여 통기성을 높이면 대상곤충을 더 많이 유인할 수 있다. 통발트랩(fish-net trap)은 원래 물고기를 잡기 위해 만든 것인데, 콩과 과실 등을 가해하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유인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가격이 저렴하고 쉽게 구입할 수 있다. 사각(tetragonal trap)트랩은 통발트랩을 사각통 모양으로 개량한 것으로 노린재목, 나비목, 딱정벌레목, 벌목 등의 곤충을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지만 아직까지 상품화되어 있지 않다. 풍뎅이트랩(beetle trap)은 풍뎅이를 유인하기 위한 것으로 풍뎅이가 노란색 유인판에 부딪쳐 채집통으로 떨어지게 한 것으로 썩덩나무노린재 및 갈색날개노린재의 유인에도 이용된다. 수반트랩(water trap)은 유인제 및 유아등에 유인된 나비목, 딱정벌레목, 파리목 등의 곤충을 농약과 전착제를 섞은 물에 떨어지게 하여 포획하는 것으로 우천 시 수반의 물이 넘쳐 유인된 곤충의 유실 가능성이 있다. 콘트랩(cone trap)은 원추형의 삿갓모양으로 담배나방, 멸강나방 등의 예찰에 이용되는 데, 이들 곤충은 우화한 성충이 교미를 위해 공중으로 올라가는 특성을 이용하여 포집하는 것으로 주로 담배나방, 왕담배나방, 멸강나방 등의 예찰에 이용된다. 유아등트랩(light trap)은 곤충의 주광성(走光性)을 이용한 것으로 야간에 활동하는 나방류, 딱정벌레목 등의 곤충을 유인하는 데 널리 사용되며, 유아등의 색깔은 곤충의 색 선호성에 따라 백색, 청색, 흑색 등을 선택할 수 있으나 대체로 청색등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전격트랩(electric shock trap)은 유아등에 유인된 곤충을 전기충격으로 죽여 도망할 수 없어 유살효과가 매우 높다. 과수원에 발생하는 나방목 및 딱정벌레목 해충의 유살, 야간에 조명하는 음식점 및 숙박업소 등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곤충 유인트랩이 있으나 여기에 소개한 트랩이 농업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곤충 유인트랩이 다양한 것은 곤충의 행동학적 및 생리?화학적 특성이 다름으로 이들 곤충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트랩개발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콩 및 과실 가해 주요 노린재류를 효과적으로 유인하기 위하여 비행성이 뛰어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통발트랩과 바닥에 망사를 붙여 통기성을 높인 펀넬트랩이 효과적이며, 썩덩나무노린재 및 풀색노린재류 등과 같이 아래로 떨어지는 특성을 가진 노린재과 노린재류는 풍뎅이트랩과 사각트랩이 효과적이다. 하지만 농업현장에서 행동학적 특성이 다른 노린재류를 1종류의 트랩으로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트랩개발이 요구되는 바이다.
'그룹명 > 식물기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작두콩 먹는방법 (0) | 2015.03.26 |
---|---|
[스크랩] 작두콩 재배방법 - 상토발아시 (0) | 2015.03.26 |
[스크랩] 더덕재배방법 (0) | 2015.02.03 |
[스크랩] 비단선인장 / 남미 소형꽃 선인장류 (0) | 2014.12.31 |
[스크랩] 분갈이을 하면서~~ (0) | 201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