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가꾼 만큼 가치는 올라갑니다. 원래 좋은 땅은 없고 좋은 땅은 만들어집니다. 볼품없던 땅도 잘만 가꾸면 몇 배의 가치를 만들 낼 수 있습니다. 가꿀 때는 반드시 테마를 만들어야 합니다. 이렇게 되면 땅값은 올라가고 테마가 돈이 됩니다.
둘째, 주제파악을 해야 합니다. 그 땅에서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무엇을 하면 가장 잘 할 수 있는지를 찾아내야 합니다. 단순히 전원주택을 지어 사는데 만족할 것인지 아니면 다른 수익을 얻겠다면 어떤 것을 할 것인지 그 땅과 맞는 주제를 정확히 정해야 합니다. 펜션을 할 것인지 전원카페를 할 것인지 아니면 나무를 가꿀 것인지에 대해 심사숙고하여 가장 현명한 선택을 해야 합니다.
셋째, 욕심은 금물입니다. 시골 땅을 구입해 전원주택을 지어 살거나 수익사업을 생각하는 실수요자들이라면 욕심을 내지 말아야 합니다. 시작할 때는 의욕적으로 달려들지만 막상 가꾸는 것에는 한계가 많습니다. 막상 가꾸어보면 100평을 넘으면 관리가 힘들어 땅을 주체하지 못합니다. 서서히 규모를 늘려가야 합니다. 집이 크면 관리도 힘들고 비용도 많이 듭니다. 50평 이상이 되면 청소를 하는 것도 만만치 않습니다. 혹 매매를 하고자할 때도 덩치가 커 쉽지가 않습니다.
넷째, 환경은 살리고 집은 죽여야 합니다. 현재 전원주택을 짓는 사람들 중에는 집에 너무 신경을 쓰는 경향이 많습니다. 집을 짓기 위해 산을 깎고 나무를 몽땅 베어버린 후 덩그렇게 집만 짓는 경우도 많습니다. 집을 크게 지으려고만 하는 경우도 있는데 큰 집을 지어 사는 사람들은 후회하게 됩니다. 집은 짓는 시간부터 손해지만 땅은 가꾸는 만큼 이익이 납니다. 중요한 것은 땅을 가꾸더라도 자연환경은 살려서 가꾸어야 합니다.
다섯째, 팔 때를 생각해야 합니다. 땅을 구입하든 전원주택을 구입하든 팔 때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강원도 산속에 고급주택을 지었다면 그만큼 나중에 팔기 힘들 것입니다. 환경이 좋은 곳에 좋은 집을 짓는다면 나중에 쉽게 팔 수 있겠지만 축사 옆에 고급주택을 짓는다면 혹 나중에 팔아야 할 경우 힘들 것입니다.
|
'그룹명 > 재테크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보전산지 금싸라기 땅으로 바꾸자 (0) | 2014.12.22 |
---|---|
[스크랩] 토지와 땅투자 세부규칙 (0) | 2014.12.01 |
[스크랩] Re: 부동산 공부를 하고 있는데요...토지의 종류 좀 알려주세요... (0) | 2014.09.19 |
[스크랩] 나는 운이 있다’ 말하는 사람을 선택한다. (0) | 2014.08.20 |
[스크랩] [땅의 운명]▶지적도 보는방법 (0) | 2014.08.20 |